CS

CS/Data Structure

비선형 자료 구조

비선형 자료 구조 비선형 자료 구조는 데이터 요소들이 선형적으로 나열되어 있지 않고 계층적인 구조를 의미한다. 그래프 정점(Vertex)과 간선(Edge)으로 이루어진 자료 구조를 의미한다. 그래프 저장 방법 1. 인접 행렬 : 정점과 간선의 관계를 2차원 행렬로 표현, 공간 복잡도 : O(V^2) 2. 인접 리스트 : 정점과 간선이 주어졌을 때 2차원 ArrayList로 표현, 공간 복잡도 : O(E) 트리 정점들이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는 비선형 자료 구조이다. 하나의 루트 노드 에서 시작하여, 부모-자식 관계를 가지는 노드들로 구성되어 있다. 반드시 노드가 N인 트리는 항상 N-1개의 간선을 가진다. 노드의 종류 루트 노드 : 최상단에 있는 노드 내부 노드 : 루트 노드와 리프 노드 사이에 있는..

CS/Data Structure

선형 자료 구조

선형 자료 구조 선형 자료 구조는 데이터 요소들이 선형적으로 나열되어 있는 자료 구조로, 각 요소들이 순서에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연결 리스트(Linked List) 각 요소가 데이터와 다음 요소를 가르키는 포인터로 이루아진 선형 자료 구조이다. 메모리 상에 불연속적으로 저장되며, 삽입과 삭제가 O(1)으로 빠르지만, 특정 위치 요소에 접근하는데는 순차적으로 탐색해야 하기 때문에 검색 O(n)으로 느리다. 배열(Array) 동일한 데이터 타입의 요소들이 메모리 상에 연속적으로 저장되는 선형 자료 구조이다. 인덱스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 접근이 가능하여 빠른 검색이 가능하다. 메모리 할당이 연속적이기 때문에 빠른 데이터 접근이 가능하다. 크기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크기 변경이 어렵고, 요소를..

CS/Data Structure

자료구조와 복잡도

자료구조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수정, 삭제, 탐색,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집합을 의미한다. 시간복잡도 "문제를 해결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입력의 함수 관계" 를 가르킨다. 로직이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리는지를 나타내는 데 사용한다. 보통 빅오 표기법으로 나타낸다. 빅오 표기법 O(n) 기호로 표기 입력 범위 n을 기준으로 로직이 몇 번 반복되는지 나타낸다. 시간 복잡도의 존재 이유 효율적인 코드로 개선하는 데 쓰이는 척도가 된다. O(n^2) = 9초를 개선하여 O(n) = 3초가 걸리게 할 수 있다. 시간 복잡도 비교 O(n^2) > O(n) > O(logN) > O(1) 공간복잡도 프로그래밍을 실행시켰을 때 필요로 하는 자원 공간의 양을 의미한다. 정적 변수로 선언된 것 말고도 동적으로 재귀..

CS/Database

프로그래밍 SQL 문법 정리 (MYSQL)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칼럼에 별명(Alias)을 부여할 수 있다. SELECT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데이터를 조회할 때 사용한다. SELECT column FROM table;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칼럼에 별명(Alias)을 부여할 수 있다. SELECT column AS alias_column FROM table; WHERE 조건문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값을 선택할 수 있다. null인 조건을 확인 경우 IS NULL 과 IS NOT NULL을 사용한다. SELECT column FROM table WHERE column = 1; ORDER BY 기본적으로 칼럼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반대의 경우(내림차순) Order By column desc로 작성한다. SELECT column1, column..

Jyuni
'CS'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