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4890
14890번: 경사로
첫째 줄에 N (2 ≤ N ≤ 100)과 L (1 ≤ L ≤ N)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지도가 주어진다. 각 칸의 높이는 1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www.acmicpc.net
문제 설명
크기가 N×N인 지도가 있다. 지도의 각 칸에는 그 곳의 높이가 적혀져 있다.
오늘은 이 지도에서 지나갈 수 있는 길이 몇 개 있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길이란 한 행 또는 한 열 전부를 나타내며,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까지 지나가는 것이다.
다음과 같은 N=6인 경우 지도를 살펴보자.
이때, 길은 총 2N개가 있으며, 아래와 같다.
길을 지나갈 수 있으려면 길에 속한 모든 칸의 높이가 모두 같아야 한다. 또는, 경사로를 놓아서 지나갈 수 있는 길을 만들 수 있다. 경사로는 높이가 항상 1이며, 길이는 L이다. 또, 개수는 매우 많아 부족할 일이 없다. 경사로는 낮은 칸과 높은 칸을 연결하며, 아래와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한다.
- 경사로는 낮은 칸에 놓으며, L개의 연속된 칸에 경사로의 바닥이 모두 접해야 한다.
- 낮은 칸과 높은 칸의 높이 차이는 1이어야 한다.
- 경사로를 놓을 낮은 칸의 높이는 모두 같아야 하고, L개의 칸이 연속되어 있어야 한다.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경사로를 놓을 수 없다.
- 경사로를 놓은 곳에 또 경사로를 놓는 경우
- 낮은 칸과 높은 칸의 높이 차이가 1이 아닌 경우
- 낮은 지점의 칸의 높이가 모두 같지 않거나, L개가 연속되지 않은 경우
- 경사로를 놓다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L = 2인 경우에 경사로를 놓을 수 있는 경우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경사로를 놓을 수 없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위의 그림의 가장 왼쪽부터 1번, 2번, 3번, 4번 예제라고 했을 때, 1번은 높이 차이가 1이 아니라서, 2번은 경사로를 바닥과 접하게 놓지 않아서, 3번은 겹쳐서 놓아서, 4번은 기울이게 놓아서 불가능한 경우이다.
가장 위에 주어진 그림 예의 경우에 지나갈 수 있는 길은 파란색으로, 지나갈 수 없는 길은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아래와 같다. 경사로의 길이 L = 2이다.
지도가 주어졌을 때, 지나갈 수 있는 길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 (2 ≤ N ≤ 100)과 L (1 ≤ L ≤ N)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지도가 주어진다. 각 칸의 높이는 1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지나갈 수 있는 길의 개수를 출력한다.
풀이
구현문제로 지나갈 수 있는 길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이다.
가로와 세로의 경사로가 겹치는 경우도 가능한지 확인해봤는데 예제입력과 출력을 보니 한 길에서 겹치면 안되는 것 같다.
arr[0][i], arr[i][0]으로 제일 위쪽 줄과 왼쪽 줄을 중심으로 잡고 지나갈 수 있는 길인지 판별한다.
판별하는 법은 현재 높이와 다음 높이를 비교하여 각각 상황에 맞게 구현을 해주었다.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boj_14890 {
static int N, L;
static int[][] arr;
static int resul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L = Integer.parseInt(st.nextToken());
arr = new int[N][N];
result = 0;
for (int i = 0; i < N;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 (int j = 0; j < N; j++) {
arr[i][j]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
for (int i = 0; i < N; i++) {
if (row(i)) {
result++;
}
if (column(i)) {
result++;
}
}
System.out.println(result);
}
public static boolean column(int y) {
int count = 1;
int now = arr[0][y];
for (int i = 1; i < N; i++) {
if (now == arr[i][y]) {
count++;
continue;
} else if (now + 1 == arr[i][y]) {
if (count < L) {
return false;
} else {
count = 1;
now = arr[i][y];
}
} else if (now - 1 == arr[i][y]) {
for (int j = 0; j < L; j++) {
if (i + j >= N || arr[i + j][y] != arr[i][y]) {
return false;
}
}
i += L - 1;
count = 0;
now = arr[i][y];
} else {
return false;
}
}
return true;
}
public static boolean row(int x) {
int count = 1;
int now = arr[x][0];
for (int i = 1; i < N; i++) {
if (now == arr[x][i]) {
count++;
continue;
} else if (now + 1 == arr[x][i]) {
if (count < L) {
return false;
} else {
count = 1;
now = arr[x][i];
}
} else if (now - 1 == arr[x][i]) {
for (int j = 0; j < L; j++) {
if (i + j >= N || arr[x][i + j] != arr[x][i]) {
return false;
}
}
i += L - 1;
count = 0;
now = arr[x][i];
} else {
return false;
}
}
return true;
}
}
결과
'Algorithm >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922 네트워크 연결(Java) (0) | 2023.01.06 |
---|---|
백준 19583 싸이버개강총회(Java) (0) | 2023.01.05 |
백준 5014 스타트링크(Java) (0) | 2023.01.04 |
백준 2251 물통(Java) (0) | 2023.01.02 |
백준 7562 나이트의 이동(Java) (0) | 2023.01.01 |